역사의 현장

정겨운 추억이 담겨져 있는 시골의 "초가" 모습입니다

선하도영 2007. 8. 23. 13:44

						

 

정겨운 추억이 담겨져 있는 시골의 "초가" 모습입니다(출처:푸른들-양촌).
기와집과 비교하여 빈곤의 상징이기도 했지만

우리 민족 특히 서민의 얼이 서려 있기에 마음이 닥아가지요.

하단 가수 배호 씨의 어릴적 모습도 인상적입니다.  
역사를 만들어온 자람스런 "우리"를 생각하며 좋은 하루를!  

 

 

 

 

 

 

옛날 그 시절

정겨웠던 초가집은

1960년대부터 사라지기 시작하여

새마을 운동이 끝날 무렵 완전히 자취를 감추었다.

그러나

몇몇 곳에 기념으로 혹은 주인 없이 버려진 초가집들이

깊은 산 속이나 깡촌에

드물게 볼 수가 있다.

 

 

 

                      

 

공식적으로 우리나라 마지막 초가삼간- 1953년 지음

 


현재 사람이 거주 중인 초가집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추억속의 호롱불을 켜보면서 .
호롤불을 켜고 사는 농민도 흔하진 않았었다.
 

 

 

 

 

안동시 사월동 초가집

 

-= IMAGE 5 =-

 


태양초와 호박채가 가을 햇살에 곱게 마르고 있습니다[충북 제천]

 


청송군 부남의 초가

 

의성군 박명실 씨 초가집

 

안동시 길안면 구수리 주막집

 

예천군 정동호님 가옥

 

옛 안동 민속촌 주막집

 

 

지붕잇기

 

 

 

 

 


생활은 어려워도 꿈과 희망이 넘첬던 시절이었습니다.
텃밭의 짚더미는 추위도 녹여주고 놀이터로 활용되고....

 


 



                           초생달이 높이 뜬 밤이 깊어도  호롱불엔 밤이 오지 않았다.
                      
                          어매는 달이 차야 부억의 불씨로 
호롱불에 불을 붙였다.

                   ......

                      
 

  어릴 때의 가수 배호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