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구도
1. 수직선
구도
높이와 엄숙함을 느끼게 하며 고층건물, 나무 등의
묘사에 적합하다.
2. 수평선
구도
수평선은 평화롭고 조용한 느낌을 주므로 원경,
해안, 구름 등 묘사.
3. 수직수평선
구도
수직선과 수평선이 교차하면 안정감과 온화한 느낌을
주므로 인물과 배경의 묘사에 좋다.
4. 대각선
구도
원근감과 동감을 나타낼 때
사용.
5. 삼각형
구도
안정감을 주므로 정물, 산, 원경 등에
적합
6 S 자형
구도
동감과 율동이
있다.
7. 중심원
구도
주제를 강조하거나 강한 인상을 줄
때.
※ 화면구성 = 구도
COMPOSITION
1.
화면의 분할
사진의 구도는 원래 회화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어디까지나 기초원리로 이해하고 구도를 결정하는데에 있어서는 이 정형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그러나 초심자는 아름다운 화면을 구성하는데 이를
기초로 하여 잘 활용하여서 평소에 훈련을 해두어야 한다.
A. 삼각형 구도사진의 기본적 구도이고 집중적 구성이며
좌우가 대칭되게 배치되어 정적인 안정감을 주며 숭고 장엄한 감정을 표현한다.
B. 역삼각형 구도 : 삼각형 구도의 정반대의 성질로 넘어질
것 같은 불안정한 감을 주며 또한 동적인 인상을 주게 되는 구도이다. 희망, 환희, 로맨틱한 감정을 나타낸다.
C. 대각선적 평행선 구도
: 이 구도는 사선이 대각선이므로 리드미컬한 느낌을 준다.
D. 수평평행선 구도: 사선의 경우보다 더욱 정적이며 온화한 느낌을
준다.
E. 수평수직 구도 : 서로의 교차된 선의 구도로 수평선은 정적인 느낌을 주며 옆으로의 넓이를, 수직선은 중압감을 느끼게 하고
깊이를 나타낸다.
F. 지그재그 구도 : 특수한 평행형식으로 전광석(번갯불) 활동성을 나타내고 동적인 리듬을 느끼게 한다.
G.
중심적 구도 : 가장 일반적인 구도로 화면의 중앙부에 주피사체를 위치하므로써 주체에 대한 강한 인상을 준다.
H. 사선적 구도
: 역삼각형구도와 같이 매우 동감있는 표현방법이다. 주피사체가 사선으로 표현되면 정적인 구도도 동적으로 느끼게 한다.
I. S자 구도 :
문자 그대로 화면의 주요부가 S자형으로 풍경촬영에 많이 이용되는 구도로 화면의 위에서 아래로 부드러운 곡선을 그려서 깊이를 느끼게
한다.
J. 대칭적 구도 : 화면의 상하좌우를 중간에서 양분해서 같은 형상이 되므로 질서정연한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2. DYNAMIC
SYMMETRY
액센트가 되는 주제를 어디에 배치하느냐 하는 문제가 아주
중요한 것인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 있는데 이를 DYNAMIC SYMMETRY라 한다.
|
'겔 러 리 > 풍경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촬영의 기본자세 (0) | 2007.07.25 |
---|---|
[스크랩] 풍경사진 노출 (0) | 2007.07.25 |
[스크랩] 알아두면 유용한 노출값(야간기준) (0) | 2007.07.25 |
[스크랩] 알아두면 유용한 기법 9 (0) | 2007.07.25 |
[스크랩] 알아두면 유용한 기법 8 (0) | 2007.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