겔 러 리/풍경사진

[스크랩] 노출

선하도영 2007. 7. 25. 13:52

◈노출

1. 노출의 개념

세상에 존재하는 많은 종류의 물체들이 우리의 눈에 각각 다른 색상으로 보이는 것은 이 물체들이 태양광선을 받아 각각 다르게 반사하기 때문이다. 흰색은 90% 이상의 빛을 반사하고 검은 색은 10% 미만의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우리 눈에 다른 밝기와 색상으로 보인다. 빛을 찍는 사진이 발달하여 빛의 밝기를 측정하는 노출계를 만들게 되었을 때 각각의 물체마다 서로 다른 반사율이 노출계를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되었다. 그래서 노출계의 기준을 세상의 모든 물체의 반사율의 평균인 중간 회색, 즉 18% 반사율을 가진 물체에 맞추게 되었다. 그러므로 우리가 촬영을 할 때 중간 회색의 물체만을 촬영한다면 아무 문제가 없겠지만 세상에는 각기 다른 반사율을 지닌 수많은 물체가 존재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노출측정 시 반영해야 한다.

아래의 왼쪽 그림에서 보면 흰 배경에 흰 물체를 촬영할 때 카메라의 노출계가 지시하는 대로 촬영하면 밝은 회색에 가까운 톤으로 나오므로 + 2 stop 정도 노출보정해야 원래의 흰 톤으로 나오게 된다. 반대로 오른쪽 그림을 살펴 보면 검은 배경에 검은 물체를 촬영할 때 카메라의 노출계가 지시하는 대로 촬영하면 역시 짙은 회색에 가까운 톤으로 나오므로 - 2 stop 정도 노출보정해야 원래의 검은 톤으로 나오게 된다. 우리가 여기서 알 수 있듯이 카메라에 내장된 노출계는 물체에 따라 촬영하는 사람이 노출을 보정해 주어야만 하는 단순한 기계일 뿐이므로 노출계를 과신하지 말도록 하자.

ex4+ 노출보정 ex3- 노출보정

또한 아래의 그림은 배경의 밝기가 피사체의 노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하고 잇다. 위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피사체인 인물의 얼굴이 적절한 톤으로 나오기 위해서는 밝은 배경에서는 + 2 stop, 어두운 배경에서는 - 2 stop 노출보정해 주어야 함을 알 수 있다.

ex2+ 노출보정 ex1- 노출보정

2. 노출계의 종류

구 분

특 징

사 용 방 법

반사식 노출계

물체에서 반사된 광선을 측정

물체에서 반사된 빛을 촬영자의 위치에서 측정하고 물체의 명암에 따라 노출보정을 해야 한다.

입사식 노출계

물체에 떨어지는 광선을 측정

물체에 떨어지는 빛을 촬영 각도를 고려해서 측정하며 물체의 명암에 따른 노출보정이 필요없다.

L718입사식노출계 L778스포트노출계 L418입사반사노출계

3. 반사식 노출계의 노출측정 방식

구 분

측 광 방 법

중앙부중점 (Center Weighted) 측광

파인더 중앙부를 60~75% 측정하고 주변부를 40~25% 측정하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중요한 피사체가 화면 중앙에 있을 경우 매우 정확하다.

스포트 (Spot) 측광

화면 중앙부의 1~3%의 미세한 부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밝기의 광선이 복잡하게 얽혀있을 때 효과적이다.

다분할 (Multi Pattern) 측광

화면을 5~32분할하여 각각의 노출을 측정하여 카메라 내의 IC에 미리 입력된 Algorithm에 의해 측정하는 방식으로 대부분의 경우 무난히 사용할 수 있다.

exmeter1중앙부중점 exmeter2스포트

◈노출 측정법

1. 노출계 사용에 따른 각종 측정법

반사식 측정법

카메라 내에 장치된 반사식 노출계를 사용할 때

입사식 측정법

별도의 입사식 노출계를 사용할 경우

전면 측정법

찍힐 피사계 전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체적으로 측정하는 방식이다. 카메라의 전면으로부터 카메라 렌즈로 들어오는 빛을 그대로 측정하므로 중앙부에 중요한 피사체가 있으면 비교적 정확하다..

클로즈업 측정법 (부분노출)

카메라를 주 피사체에 접근하여 주 피사체만을 화면에 가득 채우고 전면 측정을 한 상태로 노출을 맞춘다. 그런 다음 뒤로 물러서서 처음의 구도를 잡고 노출은 클로즈업 측정법으로 잰 대로 찍는 것이다.

평균 측정법

찍힐 피사계 전체의 노출을 부분부분 각각의 노출을 클로즈업 측정법으로 잰 다음 평균을 내어 중간 노출을 결정한다. 그런 다음 물러서서 처음의 구도대로 구도를 잡고 노출은 평균 노출로 찍는 것이다.

셰도우(Shadow) 중심측정법

피사계 중에서 그늘진 부분의 노출을 맞추고 그대로 찍는 것이다. 그대로 찍을 때에 노출계는 노출이 과다하다고 나타날 것이다. 그러나 그늘진 부분의 톤을 살리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것이다.

하이라이트 (High Light) 중심측정법

셰도우 중심측정법과 반대되는 방식으로 가장 밝은 부분의 노출을 맞추고 찍는 것이다. 빛을 받은 곳만 살리고 그림자 진 곳을 어둡게 표현하여 대비를 주기 위한 방법의 노출 측정법이다.

2. Gray Card

노출계는 빛의 밝기를 재는 것이다. 동일한 환경 속에서 흰색과 검은 색은 노출이 극도로 다르므로 흰색과 검은 색을 정확히 살리기 위해서 정해야 할 노출은 흰색과 검은 색의 중간 반사율(18%)을 가진 중간 회색의 노출을 재는 것이다. 이 때 입사식 노출계로 측정하는 것과 같은 결과를 반사식 노츨계로 측정할 수 Kodak 사에서 제작한 것이 Gray Card이다..

출처 : 추억~ 그리고 낭만을위하여....
글쓴이 : 시누대 원글보기
메모 :

'겔 러 리 > 풍경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색시물하얀꽃  (0) 2007.07.26
진해 여좌천의 벗꽃  (0) 2007.07.26
[스크랩] 실전 촬영팁13  (0) 2007.07.25
[스크랩] 촬영의 기본자세  (0) 2007.07.25
[스크랩] 풍경사진 노출  (0) 2007.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