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연기, 수증기를 찍고 싶다.
①많은셔터를끊는다.
②역광을이용한다.
③스트로보의짧은섬광을이용한다.
담배연기나 수증기, 구름 등는 천천히 움직이고 있는것 같아도 파인더로 보고 있으면 시시각각으로 모양이 변해간다. 바람에 따라서도 상당히 형태가 바뀌고, 그 변화를 예측하는 것도 어렵기 때문에
많이 찍은 후에 이미지가 있는 모양의 사진을 고르는 것이 좋다.
우선 촬영할 때, 기본적인 역광으로 촬영을 한다.
왜냐하면 순광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는 것도 있고, 세밀한 질감이 없게 되어 버리는 것도 있다.
아주 빠른 셔터라도 뭉개져 버리므로 눈으로 본 것과 같이 찍으려면 1/250보다 빠른 셔터를 끊어야 한다. 스트로보의 짧은 섬광시간을 이용하면 확실히 멈추게 찍을 수 있다.
수증기나 담배연기는 어두운 실내에서 스트로보를 사용해 촬영하면그것에 빛이 반사하여 심령사진처럼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신경을 써야 한다.
달을 찍고 싶다.
① ISO-100 1/125 f5.6
②월령을알아두어야한다.
③이미지를만들어야한다.
④렌즈촛점거리의 1/100 크기로 찍는다.
달을 촬영할때 알아두면 편리한 것이 여러가지 있는데 우선 달의 노출은 정해져 있어 ISO-100의 필름일 때는 1/125 f5.6이 기준이 된다.
이것은 언제나 변함이 없기 때문에 해질무렵, 주의 풍경에 노출을 맞추면 달은 노출과다가 된다.
풍경가운데 점경으로써 달을 프레임 시켰을 때는 그렇게 해도 좋겠지만, 어느정도 끌어당겨 찍을 때에는 다중노출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달은 렌즈 촛점거리의 1/100의 크기의 필름상에 찍히므로 24X35mm 화면전체에 프레밍 하려면 2000mm망원렌즈가 필요하게 된다.
풍경과 조화있게 프레밍하여 찍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풍경도 실루엣이 되는 수가 보통이므로 대낮에 프레이밍을 정해두는 것이 중요하다.
달이 뜨고 지는 시간도 신문이나 관상대에 물어봐서 알아두어야 한다.
흰것을 더욱 희게 찍고 싶다.
① (+)쪽으로 노출보정을 한다
② 1~2단계 노출촬영을 한다.
③입사광식노출계를사용한다.
하얀 피사체는 카메라에 내장된 노출계의 지시대로 촬영하면 대부분이 노출부족이 된다.
새 하얀 것을 찍어도 희뿌엿게 찍히는 것은 카메라의 내장 노출계가 피사체에서 반사해오는빛의 세기를 재는 타입이기 때문이다.
하얀것을 깨끗한 백색으로 찍고 싶을 때는 (+)쪽으로 1~2단 정도 노출보정을 해주어야 한다.
단지, 어느만큼 하얀 피사체인지, 어느 만큼 하얗게 표현하고 싶은지에 따라 노출보정량이 변한다.
때문에 가능한한, 촬영시에 (+)단, (+)1.5단, (+2)단과 같이 단계노출 촬영을 해 두는 것이 좀 더 확실하다. 또 피사체에 비치는 빛의세기(양) 그것을 재는 타입의 입사광식 노출계를 이용하면 이러한 노
출보정 촬영은 거의 필요가 없다.
검은 것을 더욱 검게 찍고 싶다.
① (-)쪽으로 노출보정을 한다.
② 0.5~1.5단계의 노출촬영을 한다.
③입사광식노출계를사용한다.
반사광식 카메라 내장 노출계는 흰 것을 희게 찍기 어려운 것과 같이, 검은 것을 검게 찍는 것도 어려운 것이다.
흰것을 찍을 때와 똑같이 노출보정, 단계노출 촬영, 혹은 입사광식 노출계를 이용하는 것이 확실한 방법이다.
노출보정은 (-0.5~1.5)단 정도. 단계노출 촬영은 (-0.5)단, (-1)단, (-1.5)단 정도의 3장을 촬영해 두면 좋다.
검은 피사체는 노출보정을 지나치게 하면 피사체의 질감이나 디테일을 묘사하기 어렵게 되는 수도 있으므로 '적절'한 노출보정을 할 필요가 있다.
유리의 반사를 없애고 싶다.
①편광필터를사용한다.
②조금비켜서서카메라각도를잡는다.
③삼각대를사용하여떨림을방지한다.
쇼윈도우 유리의 반사나 수면, 나뭇잎의 표면반사를 제거하고 찍으려면 편광필터(PL)를 사용한다.
편광필터는 일안레프 카메라 렌즈 앞에 끼워 그 필터를 돌려가면서 파인더로 좀 더 효과적인(제일 어두운)위치를 선택해서 촬영한다.
또 편광필터를 사용하면 유리표면에 비치고 있는 반사물도 깨끗이 제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큰 잘못으로 유리표면과 카메라위치의 각도에 따라 거의 효과를 볼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유리표면에 대하여 조금 옆으로 비켜서는 방향에서 카메라 각도를 잡으면 좋다.
또, (+)2~3단 노출배수가 증가되기 때문에 저속셔터에서 카메라의 흔들림에 주의 해야 한다.
바다수면을 깨끗하게 찍고 싶다.
①깨끗한물을선택한다.
②편광필터를사용한다.
③맑은날촬영한다.
④고속셔터를사용한다.
수면을 깨끗하게 찍으려면 무엇보다도 물이 깨끗해야한다.
육안으로 보고 있으면 수면에 현혹당해 물이 더러워도 찍어 버리는 수가 있다.
하지만, 완성된 사진을 보면 물이 차색으로 되어 버린다. 그러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편광필터를 사용하면 좋다.
또한 물의 푸르름은 날씨에 따라서 좌우되므로 맑은 날에 촬영하는 것이 아름다운 색이 나온다.
그리고, 셔터스피드가 늦게 되면 수면이 요동을 치게 되어 샤프함에 영향을 끼치므로 되도록 1/60초이상 셔터를 사용하면 좋다.
'겔 러 리 > 풍경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알아두면 유용한 기법 6 (0) | 2007.07.25 |
---|---|
[스크랩] 알아두면 유용한 기법 5 (0) | 2007.07.25 |
[스크랩] 알아두면 유용한 기법 3 (0) | 2007.07.25 |
[스크랩] 알아두면 유용한 기법 2 (0) | 2007.07.25 |
[스크랩] 알아두면 유용한 기법 1 (0) | 2007.07.25 |